지수의 개발 기록장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지수의 개발 기록장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43)
    • 토론, 독서 (3)
    • 프로그래밍 (37)
      • AWS (2)
      • JPA (2)
      • Python (6)
      • 기타 (5)
      • Architecture (16)
      • kubernetes (3)
      • kotlin (1)
      • kafka (2)

검색 레이어

지수의 개발 기록장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autowired

  • [Spring 기초] Spring framework에서의 IoC, DI : 네이버 블로그

    2020.03.02 by jisooo

[Spring 기초] Spring framework에서의 IoC, DI : 네이버 블로그

스프링에서 IoC 구현의 핵심은 ​의존성 주입​이다. 스프링은 의존 객체에 협력 객체를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해 의존성 주입을 이용한다. ​ 그러나 스프링은 다양한 환경에서 의존성 주입만으로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없으며, 이럴 경우엔 의존성 룩업을 이용해 초기의 컴포넌트에 접근한다. ​ 예를 들어, main() 메서드에서 스프링의 컨테이너를 부트스트랩하고 ApplicationContext 객체를 이용해 의존성을 가져와야 한다. 하지만 Spring MVC 기능을 이용해 웹 앱을 개발할 때는 스프링이 애플리케이션 전체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연결시키므로 룩업이 별도로 필요없다. ​ ​ 스프링에서 빈 의존성을 관리하는 구조가 한눈에 잘 설명되어있는 이미지가 있어서 가져와보았다. Bean..

카테고리 없음 2020. 3. 2. 23:39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GITHUB
지수의 개발 기록장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